설날의 어원
설날의 어원에 대한 다양한 썰(說) |
첫 번째 썰은 '낯설다'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입니다. 새로운 사람, 새로운 장소를 마주쳤을 때 낯설듯이,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할 때 낯설게 느낀다고 하여 '낯설은 날', '설은 날'에서 '설날'이 되었다는 주장입니다.
두 번째 썰은 '서럽다', '섧다'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입니다. 한 해가 새로 오고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늙어가는 처지를 서럽게 생각하여 붙여진 이름이라는 뜻이지요.
조선 선조 때 학자 이수광의 『여지승람(輿地勝覽)』에서는 설날을 '달도일(怛忉日)'이라고 일컫고 있는데요, 이때 '달(怛)'은 '슬프고 애달파 한다'라는 뜻이고, '도(忉)'는 칼로 마음을 자르듯 마음이 아프고 근심에 차 있다'라는 뜻이라고 합니다.
'서러워서 설, 추워서 추석'이라는 옛말도 아마 이와 연관이 있지 않을까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. 한겨울에 추위와 가난 속에서 맞는 명절이라 서러웠던 것일까요? 또는 차례를 지내며 돌아가신 부모님 생각이 떠올라 서러웠던 것일까요?
세 번째 썰은 나이를 뜻하는 '살'의 옛말인 '설'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입니다. 조선시대의 책 『월인석보( 月印釋譜)』에서 '그 아기 닐굽 설 머거(그 아이 일곱 살 먹어)'라는 표현을 통해 '살'의 옛말이 '설'이었다고 짐작할 수 있는 것에서 착안한 주장입니다.
한국어의 뿌리라고 여겨지는 우랄 알타이어계에서는 나이(歲)를 '살(산스크리트어)', '잘(퉁구스어)', '질(몽고어)' 등으로 부릅니다. 특히 산스크리트어로 '살(sal)'은 두 가지 뜻이 있습니다. 하나는 '새로 솟아난다'라는 뜻이고, 다른 하나는 '마디, 경계'의 뜻입니다. 둘 다 우리 민족 명절인 '설'의 시기적 특성이 가지는 의미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네 번째 썰은 '삼가다'라는 뜻을 지닌 '사리다'에서 비롯했다는 주장입니다.
『삼국유사(三國遺事)』, 『지봉유설(芝峯類說)』, 『동국세시기(東國歲時記)』 등의 세시풍속 책에는 '정초 십이지 일'이라는 풍속이 기록되어 있습니다. 즉, 정월 초하루부터 열이틀까지를 이르는 말로 십이지(十二支)에 해당하는 열두 동물들의 날. 즉, 그해의 첫 번째 쥐·소·호랑이·토끼·용·뱀·말·양·원숭이·닭·개·돼지에는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각종 행사와 특별한 금기가 있어 그것을 지켜야 한다는 풍습입니다.
이 중에서 음력 정월의 쥐 날[子日]·용날[辰日]·말 날[午日]·돼지날[亥日]은 신일(愼日)이라 하여 '삼가고 조심하는 날'로 표현했습니다. 오늘날에는 '설날'만이 근신하는 '신일(愼日)'로 지켜지고, 나머지는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.
우리 조상들은 한 해의 운수가 처음에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고 생각하여, 특별히 더욱 경거망동을 지양하고 근신하며 한 해를 시작했다고 합니다. 그런 의미에서 일면 타당성이 있는 주장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!
마지막 다섯 번째 썰은 '몸을 곧게 하다', '나라나 기관 등이 처음으로 이루어지다' 등의 의미로 쓰이는 '서다(立)'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입니다.
우리나라의 절기 중 '입춘(立春)'이 있습니다. 이때의 '입'은 들 입(入) 자를 쓰지 않고 설 입(立) 자를 씁니다. 우리 조상들은 단순히 '계절이 들어오고 나가는 것'으로 보지 않고, '봄의 기운이 새롭게 시작된다'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.
'설날'도 이와 마찬가지로, '묵은 해가 지나가고 한 해의 기운이 새롭게 서는 날'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. 단순히 날짜가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고, 한 해의 기운이 새롭게 서고 그에 따라 새로운 몸가짐 새로운 마음가짐 새로운 결심을 세우는 날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해석입니다.